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명령하는 말에 더하거나 거기에서 빼지 말고 내가 너희에게 명령하는 주 너희 하나님의 명령들을 지키라.
(신명기 4장 2절)
초기 파피루스들과 공인본문: 비잔틴 본문의 고대 기원에 대한 증거
웨스트코트(Westcott)와 호르트(Hort)가 살던 19세기 후반에는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초기 파피루스들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만약 그들이 이 파피루스들을 입수할 수 있었다면, 그들이 세운 신약 성경 본문 비평 이론은 결코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것이다.
**H. A. 스투르즈(H. A. Sturz)**는 자신이 입수할 수 있는 모든 파피루스들을 조사한 결과, 총 885곳의 심각한 이문(異文) 중에서 주후 300년 이전의 초기 파피루스들이 ‘비잔틴 본문’을 지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The Byzantine Text-type and New Testament Textual Criticism (1972, Biola College Bookstore)에 정리하였다.
현재 우리가 가진 파피루스는 신약 전체 본문의 약 30% 정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제한된 자료만으로도 중요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가령, 만일 신약 전체를 포함하는 최소 세 개의 초기 파피루스를 갖고 있다면, 비평 본문에 의해 무시되거나 삭제된 5,000개 이상의 비잔틴 본문들은 정당하게 옹호받을 수 있을 것이다.
주요 파피루스들과 그 일치성 체스터 비티 파피루스 – P45, P46, P47 (주후 225~275년)
이들 초기 파피루스는 1933–37년에 출판되었고, 놀랍게도 전통적인 비잔틴 계열의 공인 본문과 자주 일치하고 있다.
*쥰츠(G. Zuntz)*는 P46에서 후대의 것이라 여겨졌던 다수의 비잔틴 본문들이 발견되었다고 하였고, 동일한 현상이 P45에서도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태복음 26:7, 사도행전 17:13 등에서 그 예를 들었다.
보드머 파피루스 – P66, P72, P74
1956~1962년에 발표된 이들 파피루스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난다.
*버드샐(Birdsall)*은 P66(주후 200년)이 상당량의 비잔틴 본문과 일치한다고 인정했다.
*브루스 메츠거(B. Metzger)*는 P45, P46, P66에서 다른 본문 계열과는 배치되며 비잔틴 본문과 일치하는 23개 사례를 나열하였다.
P75 (주후 200년경) 역시 적어도 12곳 이상에서 공인 본문과 일치하고 있다.
주요 본문 예시 (비잔틴 본문과 파피루스의 일치) 다음은 초기 파피루스들(주후 100~300년경)이 비잔틴 본문, 즉 킹제임스 성경(KJV)의 본문을 지지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18가지 예시이다. 이들은 KJV가 후대의 개작된 본문이 아니라, 매우 이른 시기부터 존재해 온 본문임을 입증해 준다.
마가복음 9:29 – “이 종류는 기도와 금식 외에는 나갈 수 없느니라.” – P45, 알렉산드리누스(A), 비잔틴 본문과 일치. 현대 비평 본문(B, NIV, 개역)은 “금식”을 삭제.
요한복음 13:2 – “식사가 끝날 무렵에” – P66, A, 비잔틴 본문. 반면 B와 시내 사본(ℵ)은 “식사 중에”로 변개.
사도행전 10:30 – “내가 금식하며 기도하고…” – P50, C, D, 비잔틴, 성구집들이 지지. 비평 본문은 삭제.
사도행전 23:12 – “유대인들 중의 어떤 자들” – P48, 벌게이트, 비잔틴과 일치. 알파벳 사본들에서는 삭제.
로마서 15:19 – “하나님의 영” – P46, ℵ, 비잔틴. B 사본에서는 “하나님의”를 생략.
고린도전서 10:9 – “우리는 그리스도를 시험하지 말자” – P46, B, 비잔틴 지지. 비평 본문은 “주”로 대체.
고린도전서 14:38 – 명령법 능동 “알지 못하게 둘지니라” – P46, B, 비잔틴 본문. 알파벳 사본은 직설법 사용.
갈라디아서 1:3 –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 P46, P55, B 지지. ℵ과 A 사본은 일부 생략.
갈라디아서 1:8 – “복음 외에” – P51, 비잔틴, 벌게이트 지지. ℵ은 “복음” 삭제.
에베소서 1:14 – 관계대명사 중성 “그것이 보증이 되사” – P46, A, B 본문 일치. 비평 본문은 남성형으로 변경.
에베소서 5:9 – “성령의 열매” – P46, D, 비잔틴. 다른 사본들은 “빛의 열매”.
빌립보서 1:14 – “말씀을 말하게 하려 함이라” – P46, 비잔틴 지지. 비평 본문은 “하나님의 말씀”.
골로새서 1:7 – “너희를 위한 신실한 사역자” – P46, ℵ, A, B 일치. C는 “우리를 위한”으로 변경.
히브리서 11:11 – “사라가 씨를 수태하는 힘을 받아” – P13, ℵ, A, K, 비잔틴 지지. P46은 삭제.
히브리서 11:37 – “시험을 받기도 하고” – P13, A, D, K, 비잔틴, 벌게이트 포함. P46은 생략.
베드로전서 1:22 – “순수한 마음으로” – P72, ℵ, C, K, 비잔틴 지지. A, B에서는 “마음으로” 삭제.
베드로후서 2:4 – “어둠의 사슬” – P72, K, P, 비잔틴 본문. ℵ은 “침울한 구덩이”.
요한복음 16:27 – “내가 하나님으로부터 나왔느니라” – P5, ℵ, A, Θ 본문 일치. 개역은 “하나님” 삭제.
결론: 비평 본문 이론에 대한 반박 이와 같은 파피루스 증거들은 호르트가 주장한 바, “비잔틴 본문은 주후 250년 루시안에 의해 창안된 후대의 개정본”이라는 이론을 결정적으로 반박한다. 오히려 비잔틴 본문은 주후 200년 혹은 그 이전부터 이미 존재했고, 전 세계 다양한 지역의 사본들과 공통 조상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지난 100년간 성경 본문 비평이 ‘진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어 온 방향은 잘못되었다. 웨스트코트와 호르트의 이론이 현대 본문 비평학에 끼친 영향은 지대한 반면, 실제 존재하는 수많은 파피루스 증거는 철저히 무시되어 왔다. 본문 비평의 초석으로 여겨졌던 많은 작업들이 지금은 오류로 드러나고 있다.
주후 350년 이전에 이미 존재했던 공인 본문(KJV)의 본문들은 원래의 신약 성경 본문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으며, 위에 제시된 18개의 파피루스 기반 증거들은 공인 본문의 정당성과 고대성을 분명하게 입증하고 있다.
웨스트코트(Westcott)와 호르트(Hort)가 살던 19세기 후반에는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초기 파피루스들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만약 그들이 이 파피루스들을 입수할 수 있었다면, 그들이 세운 신약 성경 본문 비평 이론은 결코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것이다.
**H. A. 스투르즈(H. A. Sturz)**는 자신이 입수할 수 있는 모든 파피루스들을 조사한 결과, 총 885곳의 심각한 이문(異文) 중에서 주후 300년 이전의 초기 파피루스들이 ‘비잔틴 본문’을 지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The Byzantine Text-type and New Testament Textual Criticism (1972, Biola College Bookstore)에 정리하였다.
현재 우리가 가진 파피루스는 신약 전체 본문의 약 30% 정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제한된 자료만으로도 중요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가령, 만일 신약 전체를 포함하는 최소 세 개의 초기 파피루스를 갖고 있다면, 비평 본문에 의해 무시되거나 삭제된 5,000개 이상의 비잔틴 본문들은 정당하게 옹호받을 수 있을 것이다.
주요 파피루스들과 그 일치성 체스터 비티 파피루스 – P45, P46, P47 (주후 225~275년)
이들 초기 파피루스는 1933–37년에 출판되었고, 놀랍게도 전통적인 비잔틴 계열의 공인 본문과 자주 일치하고 있다.
*쥰츠(G. Zuntz)*는 P46에서 후대의 것이라 여겨졌던 다수의 비잔틴 본문들이 발견되었다고 하였고, 동일한 현상이 P45에서도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태복음 26:7, 사도행전 17:13 등에서 그 예를 들었다.
보드머 파피루스 – P66, P72, P74
1956~1962년에 발표된 이들 파피루스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난다.
*버드샐(Birdsall)*은 P66(주후 200년)이 상당량의 비잔틴 본문과 일치한다고 인정했다.
*브루스 메츠거(B. Metzger)*는 P45, P46, P66에서 다른 본문 계열과는 배치되며 비잔틴 본문과 일치하는 23개 사례를 나열하였다.
P75 (주후 200년경) 역시 적어도 12곳 이상에서 공인 본문과 일치하고 있다.
주요 본문 예시 (비잔틴 본문과 파피루스의 일치) 다음은 초기 파피루스들(주후 100~300년경)이 비잔틴 본문, 즉 킹제임스 성경(KJV)의 본문을 지지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18가지 예시이다. 이들은 KJV가 후대의 개작된 본문이 아니라, 매우 이른 시기부터 존재해 온 본문임을 입증해 준다.
마가복음 9:29 – “이 종류는 기도와 금식 외에는 나갈 수 없느니라.” – P45, 알렉산드리누스(A), 비잔틴 본문과 일치. 현대 비평 본문(B, NIV, 개역)은 “금식”을 삭제.
요한복음 13:2 – “식사가 끝날 무렵에” – P66, A, 비잔틴 본문. 반면 B와 시내 사본(ℵ)은 “식사 중에”로 변개.
사도행전 10:30 – “내가 금식하며 기도하고…” – P50, C, D, 비잔틴, 성구집들이 지지. 비평 본문은 삭제.
사도행전 23:12 – “유대인들 중의 어떤 자들” – P48, 벌게이트, 비잔틴과 일치. 알파벳 사본들에서는 삭제.
로마서 15:19 – “하나님의 영” – P46, ℵ, 비잔틴. B 사본에서는 “하나님의”를 생략.
고린도전서 10:9 – “우리는 그리스도를 시험하지 말자” – P46, B, 비잔틴 지지. 비평 본문은 “주”로 대체.
고린도전서 14:38 – 명령법 능동 “알지 못하게 둘지니라” – P46, B, 비잔틴 본문. 알파벳 사본은 직설법 사용.
갈라디아서 1:3 –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 P46, P55, B 지지. ℵ과 A 사본은 일부 생략.
갈라디아서 1:8 – “복음 외에” – P51, 비잔틴, 벌게이트 지지. ℵ은 “복음” 삭제.
에베소서 1:14 – 관계대명사 중성 “그것이 보증이 되사” – P46, A, B 본문 일치. 비평 본문은 남성형으로 변경.
에베소서 5:9 – “성령의 열매” – P46, D, 비잔틴. 다른 사본들은 “빛의 열매”.
빌립보서 1:14 – “말씀을 말하게 하려 함이라” – P46, 비잔틴 지지. 비평 본문은 “하나님의 말씀”.
골로새서 1:7 – “너희를 위한 신실한 사역자” – P46, ℵ, A, B 일치. C는 “우리를 위한”으로 변경.
히브리서 11:11 – “사라가 씨를 수태하는 힘을 받아” – P13, ℵ, A, K, 비잔틴 지지. P46은 삭제.
히브리서 11:37 – “시험을 받기도 하고” – P13, A, D, K, 비잔틴, 벌게이트 포함. P46은 생략.
베드로전서 1:22 – “순수한 마음으로” – P72, ℵ, C, K, 비잔틴 지지. A, B에서는 “마음으로” 삭제.
베드로후서 2:4 – “어둠의 사슬” – P72, K, P, 비잔틴 본문. ℵ은 “침울한 구덩이”.
요한복음 16:27 – “내가 하나님으로부터 나왔느니라” – P5, ℵ, A, Θ 본문 일치. 개역은 “하나님” 삭제.
결론: 비평 본문 이론에 대한 반박 이와 같은 파피루스 증거들은 호르트가 주장한 바, “비잔틴 본문은 주후 250년 루시안에 의해 창안된 후대의 개정본”이라는 이론을 결정적으로 반박한다. 오히려 비잔틴 본문은 주후 200년 혹은 그 이전부터 이미 존재했고, 전 세계 다양한 지역의 사본들과 공통 조상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지난 100년간 성경 본문 비평이 ‘진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어 온 방향은 잘못되었다. 웨스트코트와 호르트의 이론이 현대 본문 비평학에 끼친 영향은 지대한 반면, 실제 존재하는 수많은 파피루스 증거는 철저히 무시되어 왔다. 본문 비평의 초석으로 여겨졌던 많은 작업들이 지금은 오류로 드러나고 있다.
주후 350년 이전에 이미 존재했던 공인 본문(KJV)의 본문들은 원래의 신약 성경 본문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으며, 위에 제시된 18개의 파피루스 기반 증거들은 공인 본문의 정당성과 고대성을 분명하게 입증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