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이 무엇으로 자기 길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에 따라 자기 길을 조심함으로 하리이다.
청년이 무엇으로 자기 길을 깨끗하게 하리이까? 주의 말씀에 따라 자기 길을 조심함으로 하리이다.
(시편 119편 9절)
| 요한계시록 20장 12절 "하나님" 대체 
 요한계시록 20장 12절은 최후의 심판 장면을 묘사하는 성경 전체에서 가장 엄중한 구절 중 하나입니다. 이 구절에서 킹제임스 성경(KJV)은 심판의 대상이 단순히 보좌 앞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 서 있다는 것을 명확히 표현함으로써, 최후 심판의 주체가 누구인지를 분명히 밝힙니다. 그러나 개역성경, NIV, 천주교 성경 등 현대 역본은 “하나님”이라는 표현을 생략하고, 단지 “그 보좌 앞”이라고만 번역하여, 심판의 주체가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흐리게 만들고 있습니다. 1. 킹제임스 성경(KJV) Revelation 20:12(KJV): “And I saw the dead, small and great, stand before God; and the books were opened…” 흠정역: “또 내가 보니 죽은 자들이 작은 자나 큰 자나 하나님 앞에 서 있는데 책들이 펼쳐져 있고…” 여기서 “stand before God(하나님 앞에 서 있다)”이라는 말은 단지 위치 묘사가 아니라, 심판의 주체가 누구인지—하나님 Himself—임을 강조하는 신학적으로 결정적인 표현입니다. 2. 현대 역본의 생략 – 개역성경, NIV 등 개역성경: “죽은 자들이 큰 자나 작은 자나 그 보좌 앞에 서 있는데…” NIV: “The dead were standing before the throne…” 이 번역에서는 “God(하나님)”이 완전히 생략되어 있으며, 심판의 자리가 단순한 장소(보좌)처럼 표현되어 있습니다. → 이로 인해 심판의 주체가 모호해지고, 성경 전체가 강조하는 “하나님 앞에 선다”라는 심판의 본질이 훼손됩니다. → “보좌”만 언급되면 그 보좌에 누가 앉아 계신지, 누구의 권위인지 흐려짐 3. 신학적 손상 심판의 권위 약화 → 성경은 항상 하나님 앞에서의 심판을 강조합니다. 로마서 14:10 “… 우리가 다 그리스도의 심판석 앞에 서리라.” 히브리서 9:27 “한 번 죽는 것은 사람들에게 정해진 것이요 이것 뒤에는 심판이 있나니” 복음의 메시지 약화 → 성경은 끊임없이 인간이 하나님 앞에 선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것이 바로 구원의 필요성과 복음의 시작점임 → 하나님을 직접 대면한다는 사실이 두려움과 경외를 일으키는 핵심 진리인데, 이 점이 생략되면 최후의 심판이 ‘개념적’이 되고 감각이 약화됨 4. 사본 증거 KJV 및 다수 사본(Textus Receptus, Byzantine Majority Text)은 헬라어로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ἔστησαν ἐνώπιον τοῦ Θεοῦ → “그들이 하나님 앞에 서 있었다” 반면, 소수 사본(시내 사본, 바티칸 사본 등 알렉산드리아계)에서는 “τοῦ Θεοῦ (하나님)”이라는 표현이 빠져 있음 → 따라서 단지 “보좌 앞에 서 있었다”라는 불완전한 표현만 남게 됩니다. → 이로 인해 NIV, 개역성경, 천주교 성경 등 현대 역본들은 이 소수 사본을 반영하여 “하나님”을 삭제하였고, 결과적으로 심판의 주체와 장엄함을 흐리는 잘못된 번역이 된 것입니다. 5. 결론 요한계시록 20장 12절은 인류 최후의 운명이 결정되는 백보좌 심판의 장면입니다. 여기서 “하나님 앞에 서서 심판을 받는다.”라는 표현은 그리스도인의 믿음과 두려움, 복음의 긴급함을 일깨우는 신학적 핵심 선언입니다. 킹제임스 성경(KJV)은 이 구절을 정확한 사본과 교리의 일관성에 따라 보존하면서, 하나님의 주권, 공의, 심판의 실재를 온전히 드러냅니다. 반면, 개역성경, NIV, 천주교 성경 등 현대 역본은 소수 사본을 따라 “하나님”이라는 심판의 주체를 생략함으로써, 하나님의 임재와 심판의 무게를 약화시키고, 독자들에게 심판을 개념적이고 추상적인 것으로 오해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구절 역시 킹제임스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을 충실하게 보존한 본문임을 명백히 보여 주는 사례입니다. “죽은 자들이 하나님 앞에 서서”라는 말씀은, 이 구절의 핵심이자 결코 생략되어서는 안 될 본질적인 표현입니다. |